평소에 친구들과 대화를 하거나, TV등을 보다보면 여러가지 형태로 되어 있는 우리말을 보게 됩니다. 이때, 가끔씩은 뭔가 사전에 나오지 않을법한 단어가 나올때가 있어요. 이는 흔히 '순우리말'이라는 이름으로 한자어가 들어가지 않은 우리나라의 고유 언어라고 말을 하는데요. 이런 순우리말의 뜻을 알고 있는 경우엔 괜찮겠지만, 이를 모를땐 이게 구체적으로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을때가 생겨요. 그것 관련해서 이것의 뜻을 알 수 있는 '사전'을 찾는 분들을 위해, 순우리말 사전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우리말샘 이라고 하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우리말샘 홈페이지(바로가기)를 검색해서 들어가면, 이런식에 기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운데에 있는 검색창에 본인이 알고 싶은 순우리말 단어를 적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 페이지에 그것 관련된 결과가 나올꺼에요.

저는 '꿈'이라고 하는 단어를 적어봤습니다. 이것 같은 경우 순우리말 중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검색을 하고 나면, 기본적으로 이 단어가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쭉 설명을 해줍니다. 그리고 이것 관련해서 단어 이름을 클릭하면, 다음 페이지에서 더 세부적인 단어 뜻을 볼 수 있어요.

이때 이것 관련된 내용은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먼저 위쪽에는 이것의 발음상 정보, 다음으로 이것의 품사와 함께 뜻 등이 표기 됩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이 단어가 쓰인 여러 문학작품을 바탕으로 한 예시가 나옵니다.

더 밑으로 내려가면, '역사 정보'라고 하는 것이 보입니다. 이 단어가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서 지금까지 오게 되었는지 쭉 표기를 하며, 세기별 뜻 풀이를 쭉 볼 수 있습니다. 보면, 초창기에는 옛날 한글로 표기가 되어 있어서 어떤 말로 되어 있는지도 잘 모르지만,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로 표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여기에 있는 내용은 일반 분들도 직접 내용을 추가하고, 편집을 할 수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앞에서 봤던 내용들은 '전문가 감수 정보' 인데, 이것 말고 맨 위에 보면, '참여자 제안 정보'를 따로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적은 내용은 여기에 추가가 된다고 보면 되요.

이것 관련해서 집필에 참여하고 싶다면 본인 계정 로그인을 해야 되는데요. 이때 관련 계정이 없다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회원가입' 부분을 누르면 본인 계정을 새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기타 이것 말고도 위쪽에 보면 '사전 통계'라고 해서 사전 관련해서 여태까지 나왔던 통계 내역들을 쭉 확인할 수 있어요. 단어, 구 관련해서 이것들의 비율이나, 전체 표제어 숫자가 어떻게 되는지 파악을 해보세요.
그럼 지금부터 순우리말 사전 사이트 링크를 걸어드리겠습니다.
* 순우리말 사전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main
우리말샘 - 함께 만들고 모두 누리는 우리말 사전
opendict.korean.go.kr
최근댓글